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891년 시작된, 잉글랜드 풋볼 리그 다음으로 오래된 축구 리그이다. 1931년 프로 리그가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가 주관한다. 리그는 여러 차례의 개편을 거쳐 현재와 같은 단일 시즌제로 운영되며, 2024년에는 28개 팀이 참가한다. 아르헨티나 클럽들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등 남미 클럽 대항전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리버 플레이트가 최다 우승(38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1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캐피털 프리미어 (뉴질랜드)
캐피털 프리미어 리그는 2000년에 출범한 뉴질랜드 웰링턴 지역 최상위 축구 리그로, 2022년 리그 시스템 개편 후 2부 리그로 변경되어 현재 10개 팀이 챔피언십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팀을 가린다. - 아르헨티나의 프로 스포츠 리그 - 프리메라 나시오날
프리메라 나시오날은 1986년에 창설되어 202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아르헨티나의 프로 축구 리그로,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소속 팀들이 참가하며 프리메라 디비시온 다음으로 높은 수준의 리그이다. - 아르헨티나의 프로 스포츠 리그 -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는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로서 부에노스 아이레스 지역 클럽들이 주로 참가하며, 1899년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창설되어 1986년 3부 리그로 재편, 매 시즌 우승팀은 2부 리그로 승격하고 하위 두 팀은 4부 리그로 강등된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1부 리그 - 파라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파라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06년 창설되어 1935년 프로 리그로 전환된 파라과이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2개 팀이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두 개의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 국제 대회 출전권, 강등을 놓고 경쟁하며 올림피아와 세로 포르테뇨가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1부 리그 -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는 1948년에 시작된 콜롬비아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20개 팀이 아페르투라와 피날리사시온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팀을 가리키며,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이 최다 우승을, 다이로 모레노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국제 대회 참가를 지원한다.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 | |
국가 | 아르헨티나 |
주최 | AFA |
창립 | 1891년 4월 12일 |
첫 시즌 | 1931년 |
대륙 연맹 | CONMEBOL |
참가 팀 수 | 28 (2025년부터 30) |
강등 | 프리메라 나시오날 |
레벨 | 1 |
국내 컵 | 코파 아르헨티나 수페르코파 아르헨티나 코파 데 라 리가 프로페시오날 트로페오 데 캄페오네스 수페르코파 인터나시오날 |
대륙 컵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
현재 시즌 | 2024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공식 웹사이트 | ligaprofesional.ar |
통계 | |
최근 우승 팀 | 벨레스 사르스필드 (2024년) (11번째 우승) |
최다 우승 팀 | 리버 플레이트 (38회) |
최다 출전 선수 | 우고 가티 (765경기) |
최다 득점 선수 | 아르세니오 에리코 (295골) |
방송 | |
방송사 | ESPN 프리미엄 TNT 스포츠 |
2. 역사
1891년 영국인들에 의해 시작된 아르헨티나 리그는 잉글랜드의 풋볼 리그를 제외하고 가장 오래된 축구 리그이다. 최초의 우승 팀은 '''세인트 앤드루스'''(Saint Andrews)로 기록되어 있다.[74] 1931년부터 프로 리그가 시작되었으며, 현재 아르헨티나 리그에는 축구 협회에서 주관하는 컵대회 또는 리그컵 대회가 없지만, 통합 우승 팀을 결정하거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같은 국제 대회 참가팀을 결정할 목적 등으로 몇몇 대회가 한시적으로 생기곤 했다.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는 다음과 같이 변천했다.
- '''굵은 글씨'''는 주류, ''기울임꼴''은 주류와 병행한 지류
- 1891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리그'' (Argentine Association Football League)
- 1893-1927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리그''' (Argentine Association Football League)
- 1912-1915 ''아르헨티나 축구 연맹'' (Federacion Argentina de Fútbol)
- 1915-1919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Asociacion Argentina de Fútbol)
- 1919-1926 ''아마추어 축구 협회'' (Asociacion Amateurs de Fútbol)
- 1927-1931 '''아르헨티나 아마추어 축구 협회''' (Asociacion Amateur Argentina de Fútbol)
- 1931-1934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Liga Argentina de Fútbol)
- 1931-1934 ''아마추어/프로 축구 협회'' (Asociacion de Fútbol Amateur y Profesionales)
- 1934-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Asociacion de Fútbol Argentino)
1912년 CA 인데펜디엔테 등이 아르헨티나 축구 연맹(Federacion Argentina de Fútbol)으로 이적했다.
1931년 프로 리그가 분리되어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Liga Argentina de Fútbol)가 되었다.[52] 3년 동안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와 아마추어/프로 축구 협회가 분열된 상태로 공존했고, 1934년 양 리그가 합병하여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sociacion de Fútbol Argentino)가 설립되었다.[53]
1967년 단일 시즌제가 폐지되고, 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 두 개의 단기 리그로 분할되었다.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가 처음으로 빅5의 리그 지배를 깨뜨렸다.
1985년 리그 방식이 변경되어 유럽 주요 국가들처럼 춘추제(7월에 시즌이 시작되어 6월에 끝나는 방식)를 채택한 남미 최초의 리그가 되었다.
1990-91 시즌에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제도가 도입되었다.
2012-13 시즌부터 전·후기 리그 명칭이 토르네오 이니시알(개막 리그)과 토르네오 피날(폐막 리그)로 변경되었다.
2014년 8월부터 20개 팀이 참가하는 "토르네오 데 트랜시시온(Torneo de Transición)"이 개최되었으며, 2015년에는 30개 팀이 참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17-18 시즌은 "수페르리가 아르헨티나(Superliga Argentina)"가 처음으로 개최된 시즌이었다.
2020년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는 LPF를 출범시켰다.[40]
2. 1. 아마추어 리그 시대 (1891-1930)
1891년, 남미 최초의 축구 리그인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리그(Argentine Association Football League)가 창설되었으나, 단 한 시즌만 개최된 후 해산되었다.[74] 1893년에는 현재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의 기원이 되는 동명의 리그가 다시 설립되었다. 이 시기에는 알룸니 AC가 10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를 지배했다.1912년, 일부 클럽들이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를 탈퇴하여 아르헨티나 축구 연맹(Federación Argentina de Fútbol)을 설립하면서 리그가 분열되었다. 1919년에는 아마추어 축구 협회(Asociación Amateurs de Fútbol)가 설립되면서 분열이 심화되었으나, 1927년 두 리그가 통합되어 아르헨티나 아마추어 축구 협회(Asociación Amateurs Argentina de Fútbol)가 되었다.
연도 | 대회 | 우승 |
---|---|---|
1891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1 | 세인트 앤드루스[74] |
1892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우승 팀 없음. |
1893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로마스 애슬레틱 |
1894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로마스 애슬레틱 |
1895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로마스 애슬레틱 |
1896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로마스 애슬레틱 |
1897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로마스 애슬레틱 |
1898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로마스 애슬레틱 |
1899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벨그라노 애슬레틱 |
1900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 |
1901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 |
1902 |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 |
1903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2 |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 |
1904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벨그라노 애슬레틱 |
1905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 |
1906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 |
1907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 |
1908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벨그라노 애슬레틱 |
1909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 |
1910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 |
1911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 |
1912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킬메스 |
아르헨티나 축구연맹3 | 에스투디안틸 포르테뇨 | |
1913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라싱 클루브 |
아르헨티나 축구연맹 | 에스투디안테스 라 플라타 | |
1914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라싱 클루브 |
아르헨티나 축구연맹 | 에스투디안틸 포르테뇨 | |
1915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라싱 클루브 |
1916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라싱 클루브 |
1917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라싱 클루브 |
1918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라싱 클루브 |
1919 | 아마추어 축구협회4 | 라싱 클루브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보카 주니어스 | |
1920 | 아마추어 축구협회 | 리버 플레이트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보카 주니어스 | |
1921 | 아마추어 축구협회 | 라싱 클루브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우라칸 | |
1922 | 아마추어 축구협회 | 인데펜디엔테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우라칸 | |
1923 | 아마추어 축구협회 | 산로렌소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보카 주니어스 | |
1924 | 아마추어 축구협회 | 산로렌소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보카 주니어스 | |
1925 | 아마추어 축구협회 | 라싱 클루브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우라칸 | |
1926 | 아마추어 축구협회 | 인데펜디엔테 |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 보카 주니어스 | |
1927 | 아르헨티나 아마추어 축구협회5 | 산로렌소 |
1928 | 아르헨티나 아마추어 축구협회 | 우라칸 |
1929 | 아르헨티나 아마추어 축구협회 | 힘나시아 라 플라타 |
1930 | 아르헨티나 아마추어 축구협회 | 보카 주니어스 |
1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Argentina Association Football League)2 아르헨티나 축구협회 (Asociación Argentina de Football)3 아르헨티나 축구연맹 (Federación Argentina de Football)4 아마추어 축구협회 (Asociación Amateurs de Football)5 아르헨티나 아마추어 축구협회 (Asociación Amateurs Argentina de Football)
2. 2. 프로 리그 시대 (1931-현재)
1931년, 프로 리그인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Liga Argentina de Fútbol)가 출범하면서 프로와 아마추어 리그가 분리되었다.[52] 3년간 두 리그가 공존하다 1934년에 통합되어 현재의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sociacion de Fútbol Argentino, AFA)가 설립되었다.[53]1931년부터 1966년까지는 단일 시즌제로 운영되었으며, 1936년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팀이 우승했다. 1936년에는 코파 데 오노르(Copa de Honor)와 카메오나토(Campeonato) 우승팀이 우승 타이틀을 놓고 경기를 치렀다.
이 시기에는 '빅 5' 클럽인 리버 플레이트, 보카 주니어스, 인데펜디엔테, 라싱 클럽, 산로렌소가 리그를 지배했다.[21][22][23][24] 36년 동안 이들 외에 리그 우승을 차지한 팀은 없었다. 1951년 반필드가 라싱 클럽과 승점 동률을 이뤘으나, 1위 결정전에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23]

1957년 리그부터 평균 승점 시스템이 도입되어,[30] 페로 카릴 오에스테가 이 시스템에 따라 처음으로 강등되었다.[25] 1963년 리그까지 유지된 후 최하위 팀 강등 방식으로 돌아왔으나,[26] 1967년 리그까지 강등은 없었다.[27]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31 | 보카 주니어스 (50) | 산로렌소 (45) | 에스투디안테스 (44) |
1932 | 리버 플레이트 (50)[75] | 인데펜디엔테 (50) | 라싱 클럽 (49) |
1933 | 산로렌소 (50) | 보카 주니어스 (49) | 라싱 클럽 (48) |
1934 | 보카 주니어스 (55) | 인데펜디엔테 (54) | 산로렌소 (51) |
1935 | 보카 주니어스 (58) | 인데펜디엔테 (55) | 산로렌소 (49) |
1936 | 리버 플레이트[76][77] | 산로렌소[78] | 라싱 클럽[79] |
1937 | 리버 플레이트 (58) | 인데펜디엔테 (52) | 보카 주니어스 (45) |
1938 | 인데펜디엔테 (53) | 리버 플레이트 (51) | 산로렌소 (43) |
1939 | 인데펜디엔테 (56) | 리버 플레이트, 우라칸 (50)[80] | |
1940 | 보카 주니어스 (55) | 인데펜디엔테 (47) | 리버 플레이트 (42) |
1941 | 리버 플레이트 (44) | 산로렌소 (40) | 뉴얼스 올드 보이스 (38) |
1942 | 리버 플레이트 (46) | 산로렌소 (40) | 우라칸 (37) |
1943 | 보카 주니어스 (45) | 리버 플레이트 (44) | 산로렌소 (35) |
1944 | 보카 주니어스 (46) | 리버 플레이트 (44) | 에스투디안테스 (39) |
1945 | 리버 플레이트 (46) | 보카 주니어스 (42) | 인데펜디엔테 (41) |
1946 | 산로렌소 (46) | 보카 주니어스 (42) | 리버 플레이트 (41) |
1947 | 리버 플레이트 (48) | 보카 주니어스 (42) | 인데펜디엔테 (41) |
1948 | 인데펜디엔테 (41) | 리버 플레이트 (37) | 에스투디안테스 (36) |
1949 | 라싱 클럽 (49) | 리버 플레이트 (43) | 플라텐세 (43) |
1950 | 라싱 클럽 (47) | 보카 주니어스 (39) | 인데펜디엔테 (39) |
1951 | 라싱 클럽 (44)[81] | 반필드 (44) | 리버 플레이트 (43) |
1952 | 리버 플레이트 (40) | 라싱 클럽 (39) | 인데펜디엔테 (35) |
1953 | 리버 플레이트 (43) | 벨레스 사르스필드 (39) | 라싱 클럽 (39) |
1954 | 보카 주니어스 (45) | 인데펜디엔테 (41) | 리버 플레이트 (38) |
1955 | 리버 플레이트 (45) | 라싱 클럽 (38) | 보카 주니어스 (37) |
1956 | 리버 플레이트 (43) | 라누스 (41) | 보카 주니어스 (40) |
1957 | 리버 플레이트 (46) | 산로렌소 (38) | 라싱 클럽 (36) |
1958 | 라싱 클럽 (41) | 보카 주니어스 (38) | 산로렌소 (38) |
1959 | 산로렌소 (45) | 라싱 클럽 (38) | 인데펜디엔테 (33) |
1960 | 인데펜디엔테 (41) | 리버 플레이트 (39)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39) |
1961 | 라싱 클럽 (47) | 산로렌소 (40) | 리버 플레이트 (38) |
1962 | 보카 주니어스 (43) | 리버 플레이트 (41) | 힘나시아 라 플라타 (38) |
1963 | 인데펜디엔테 (37) | 리버 플레이트 (35) | 라싱 클럽 (39) |
1964 | 보카 주니어스 (44) | 인데펜디엔테 (38) | 리버 플레이트 (37) |
1965 | 보카 주니어스 (50) | 리버 플레이트 (49) | 벨레스 사르스필드 (40) |
1966 | 라싱 클럽 (61) | 리버 플레이트 (56) | 보카 주니어스 (48) |
1967년, 단일 시즌제가 폐지되고 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 두 개의 단기 리그로 분할되었다.
2. 2. 1. 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 (1967-1985)
1967년, 단일 토너먼트 방식이 폐지되고 매년 두 개의 챔피언십, 즉 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로 대체되었다.[24] 메트로폴리타노는 기존 토너먼트에 참가한 클럽만 참가할 수 있었고, 나시오날은 지역 토너먼트의 팀들에게 개방되었다.[24] 이러한 변화는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es와 같은 소규모 팀들이 강세를 보이는 계기가 되었다.1967년부터 1985년까지 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은 여러 번의 방식 변화를 겪었다. 1982년에는 토너먼트 순서가 바뀌어 나시오날이 전반기, 메트로폴리타노가 후반기에 진행되었다.[29]
시즌 | 메트로폴리타노 우승 | 메트로폴리타노 준우승 | 나시오날 우승 | 나시오날 준우승 |
---|---|---|---|---|
1967 | 에스투디안테스[82] | 라싱 클럽 | 인데펜디엔테 | 에스투디안테스 |
1968 | 산로렌소[83] | 에스투디안테스 | 벨레스 사르스필드[84] | 리버 플레이트 |
1969 | 차카리타 주니어스[85] | 리버 플레이트 | 보카 주니어스 | 리버 플레이트 |
1970 | 인데펜디엔테[86] | 리버 플레이트 | 보카 주니어스[87] | 로사리오 센트랄 |
1971 | 인데펜디엔테 | 벨레스 사르스필드 | 로사리오 센트랄[88] | 산로렌소 |
1972 | 산로렌소 | 라싱 클럽 | 산로렌소[89] | 리버 플레이트 |
1973 | 우라칸 | 보카 주니어스 | 로사리오 센트랄[90] | 리버 플레이트 |
1974 | 뉴얼스 올드 보이스[90] | 로사리오 센트랄 | 산로렌소[91] | 로사리오 센트랄 |
1975 | 리버 플레이트 | 우라칸 | 리버 플레이트[91] | 에스투디안테스 |
1976 | 보카 주니어스[92] | 우라칸 | 보카 주니어스[93] | 리버 플레이트 |
1977 | 리버 플레이트 | 인데펜디엔테 | 인데펜디엔테[94] | 타예레스 |
1978 | 킬메스 | 보카 주니어스 | 인데펜디엔테[95] | 리버 플레이트 |
1979 | 리버 플레이트[96] | 벨레스 사르스필드 | 리버 플레이트[97] | 우니온 데 산타페 |
1980 | 리버 플레이트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로사리오 센트랄[98] | 라싱 코르도바 |
1981 | 보카 주니어스 | 페로 카릴 오에스테 | 리버 플레이트[99] | 페로 카릴 오에스테 |
1982 | 에스투디안테스 | 인데펜디엔테 | 페로 카릴 오에스테[100] | 킬메스 |
1983 | 인데펜디엔테 | 산로렌소 | 에스투디안테스[101] | 인데펜디엔테 |
1984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페로 카릴 오에스테 | 페로 카릴 오에스테[102] | 리버 플레이트 |
1985 | 토르네오 메트로폴리타노가 열리지 않음.[103]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104]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983년, 1983 메트로폴리타노 챔피언십부터 평균 승점 시스템이 다시 도입되었다.[30]
2. 2. 2. 유럽식 시즌제 (1985-1991)
카를로스 살바도르 빌라르도(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의 조언에 따라 1985년에 경기 방식이 개정되었다. 전통적으로 남반구의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축구 시즌은 달력 연도에 따라 시작과 끝을 맞추었다. 그러나 개혁 이후 남아메리카 국가들 중 처음으로 유럽식 시즌(춘추제)이 도입되었다. 또한 매년 두 개의 리그를 개최하는 대신, 유럽의 축구 리그처럼 단일 더블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만 치러졌다. 시즌 종료 시 상위권에 오른 팀이 우승을 차지했다.1985년 나시오날(Nacional)이 끝난 후 메트로폴리타노(Metropolitano)는 열리지 않았고, 새로운 단일 토너먼트(1985/86)가 처음으로 열렸다.
1988-89 시즌에는 승리팀에게 3점이 주어졌다. 무승부가 발생하면 승부차기가 진행되었고, 승부차기 승자는 2점을, 패자는 1점을 얻었다. 이 방식은 다음 시즌에 폐지되었다.[105]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85/86 | 리버 플레이트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
1986/87 | 로사리오 센트랄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인데펜디엔테 |
1987/88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산로렌소 | 라싱 클럽 |
1988/89[105] | 인데펜디엔테 | 보카 주니어스 |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
1989/90 | 리버 플레이트 | 인데펜디엔테 | 보카 주니어스 |
1990/91[106] | 뉴얼스 올드 보이스[107][108] | 보카 주니어스[109] | - |
2. 2. 3.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1991-2012)
2011/12 시즌까지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전기 리그인 아페르투라(Apertura, 8월~12월)와 후기 리그인 클라우수라(Clausura, 2월~6월)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각각의 리그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 아닌 싱글 라운드 방식으로 진행되어 1년에 두 명의 챔피언이 나왔다.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는 각각 '개막'과 '폐막'을 의미하며, 북반구, 특히 유럽의 축구 시즌과 비슷한 기간에 시즌을 진행하기 위해 고안되었다.1991년에는 두 우승팀이 승자 결정전을 치렀으나, 보카 주니어스가 뉴웰스 올드 보이스와의 결승전에서 패배하는 등 논란이 많았다. 1992년에도 승자 결정전이 열렸지만, 결과에 관계없이 두 팀 모두 '챔피언' 타이틀을 받았다. 1992년 이후 이 방식은 폐지되어 매 시즌 두 팀이 동등하게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1995-96 시즌부터는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주어지는 규칙이 적용되었다.[110] 1999-2000 시즌에는 승강제가 처음 도입되어, 평균 승점이 낮은 팀들은 프리메라 B 나시오날 팀과 경기를 치러 리그 잔류 여부를 결정했다.[32]
시즌 | 아페르투라 우승 | 아페르투라 준우승 | 클라우수라 우승 | 클라우수라 준우승 |
---|---|---|---|---|
1991/92 | 리버 플레이트 (31) | 보카 주니어스 (24) | 뉴얼스 올드 보이스 (29) | 벨레스 사르스필드 (27) |
1992/93 | 보카 주니어스 (27) | 리버 플레이트 (23) | 벨레스 사르스필드 (27) | 인데펜디엔테 (24) |
1993/94 | 리버 플레이트 (24) | 벨레스 사르스필드 (23) | 인데펜디엔테 (26) | 우라칸 (25) |
1994/95 | 리버 플레이트 (31) | 산로렌소 (26) | 산로렌소 (30) | 힘나시아 라 플라타 (29) |
1995/96[110] | 벨레스 사르스필드 (41) | 라싱 클럽 (35) | 벨레스 사르스필드 (40) | 힘나시아 라 플라타 (39) |
1996/97 | 리버 플레이트 (46) | 인데펜디엔테 (37) | 리버 플레이트 (41) | 콜론 산타페 (35) |
1997/98 | 리버 플레이트 (45) | 보카 주니어스(44) | 벨레스 사르스필드 (46) | 라누스 (40) |
1998/99 | 보카 주니어스 (45) | 힘나시아 라 플라타 (36) | 보카 주니어스 (44) | 리버 플레이트 (37) |
1999/2000 | 리버 플레이트 (44) | 로사리오 센트랄 (43) | 리버 플레이트 (42) | 인데펜디엔테 (36) |
2000/01 | 보카 주니어스 (41) | 리버 플레이트 (37) | 산로렌소 (47) | 리버 플레이트 (41) |
2001/02 | 라싱 클럽 (42) | 리버 플레이트 (41) | 리버 플레이트 (43) | 힘나시아 라 플라타 (37) |
2002/03 | 인데펜디엔테 (43) | 보카 주니어스 (40) | 리버 플레이트 (43) | 보카 주니어스 (39) |
2003/04 | 보카 주니어스 (39) | 산로렌소 (36) | 리버 플레이트 (40) | 보카 주니어스 (36) |
2004/05 | 뉴얼스 올드 보이스 (36) | 벨레스 사르스필드 (34) | 벨레스 사르스필드 (39) | 반필드 (33) |
2005/06 | 보카 주니어스 (40) | 힘나시아 라 플라타 (37) | 보카 주니어스 (43) | 라누스 (35) |
2006/07 | 에스투디안테스 (44)[111] | 보카 주니어스 (44) | 산로렌소 (45) | 보카 주니어스 (39) |
2007/08 | 라누스 (38) | 티그레 (34) | 리버 플레이트 (43) | 보카 주니어스 (39) |
2008/09 | 보카 주니어스 (39)[112] | 티그레 (39) | 벨레스 사르스필드 (40) | 우라칸 (38) |
2009/10 | 반필드 (41) | 뉴얼스 (39)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41) | 에스투디안테스 (40) |
2010/11 | 에스투디안테스 (45) | 벨레스 사르스필드 (43) | 벨레스 사르스필드 (39) | 라누스 (35) |
2011/12 | 보카 주니어스 (43) | 라싱 클럽 (31) | 아르세날 (38) | 티그레 (36) |
2. 2. 4. 이니시알과 피날 (2012-2014)
2012-13 시즌부터 토르네오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는 "토르네오 이니시알"과 "토르네오 피날"로 변경되었으며,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었지만 매 시즌 한 개의 우승팀만을 결정하게 되었다.[33]초기 및 최종 토너먼트가 종료된 후, 두 우승팀은 코파 캄페오나토(일반적으로 ''수페르피날''로 알려짐) 경기를 치러야 했다. AFA는 2013년에 열린 첫 번째 대회(2012-13 시즌)를 프리메라 디비시온 공식 타이틀로 간주하기로 결정했으므로, 벨레스 사르스필드는 뉴웰스를 물리치고 10번째 공식 우승을 차지했다.[42]
그러나 2014년 대회부터는 ''수페르피날''을 프리메라 디비시온 타이틀로 간주하지 않고 공식 컵으로 간주하기로 결정되었다.[34]
이 때문에 2015년과 2016년 시즌은 단일 토너먼트로 진행되어 시즌당 우승팀이 하나뿐이었고, 그 이후로는 코파 캄페오나토는 개최되지 않았다.
2. 2. 5. 단일 시즌제 (2014-현재)
2014년 8월부터 20개 팀(2013-14 시즌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참가팀 17개와 2013-14 프리메라 B 나시오날 승격팀 3개)이 참가하는 "토르네오 데 트랜시시온(Torneo de Transición)"이 개최되었으며, 이 대회 종료 후에는 강등되는 팀이 없었다.[35]2015년에는 30개 팀이 참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14 프리메라 B 나시오날 시즌 A조와 B조 상위 5개 클럽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되었고, 이 10개 팀과 기존 상위 리그 참가 20개 클럽이 다음 시즌에 참가 자격을 얻었다.[36]
같은 해,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는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향후 5시즌 동안의 방식을 발표했다.[37]
- 2016년 상반기: 30개 팀 참가. 프리메라 B 나시오날(아르헨티나 2부 리그)에서 한 팀 강등, 한 팀 승격.
- 2016년 8월~2017년 6월: 30개 팀 참가. 프리메라 B 나시오날에서 네 팀 강등, 두 팀 승격.
- 2017년 8월~2018년 6월: 28개 팀 참가. 프리메라 B 나시오날에서 네 팀 강등, 두 팀 승격. 이 시즌은 "수페르리가 아르헨티나(Superliga Argentina)"가 처음으로 개최된 시즌이었다. 수페르리가 아르헨티나는 동일 명칭의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자체 규정을 가진 기구였다. 따라서 AFA는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에만 집중하게 되었다. 2017-18 시즌은 이 기구가 주최한 첫 번째 대회였다.
- 2018년 8월~2019년 6월: 수페르리가에 26개 팀 참가. 프리메라 B 나시오날에서 네 팀 강등, 두 팀 승격.
2020년 2월, AFA 회장 클라우디오 타피아는 수페르리가가 아르헨티나 축구를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설립되었지만 그 목적에 실패했다고 밝혔다. 타피아 회장의 발표에 따르면, AFA가 프리메라 디비시온 챔피언십 조직을 인수할 것이라고 한다.[38] 한 달 후, 수페르리가 회장 마리아노 엘리손도는 사임했다.[39]
수페르리가는 AFA와 직접적으로 연계되고 마르셀로 티넬리가 회장을 맡은 "리가 프로페시오날 데 푸트볼"(Liga Profesional de Fútbol)이라는 유사한 기구로 대체되었다.[40] 2020 코파 데 라 수페르리가 (코파 데 라 수페르리가 아르헨티나) 대회가 끝나면 수페르리가가 해산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39] 아르헨티나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면서 해산 절차가 앞당겨졌다. 2020년 5월, AFA는 LPF를 출범시켰다.[40]
3. 리그 진행 방식
2011/12 시즌까지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전기리그인 아페르투라(Aperturaes, 8월~12월)와 후기리그인 클라우수라(Clausuraes, 2월~6월)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각 리그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 아닌 싱글 라운드 방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유럽의 축구리그들과는 달리 1년에 두 개의 챔피언이 존재했다. 아르헨티나에는 축구협회에서 주관하는 공식적인 컵 대회가 없었다.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는 각각 '개막'(opening)와 '폐막'(closing)의 의미를 갖고 있는데, 이는 북반구, 특히 유럽의 축구 시즌과 비슷한 기간에 시즌을 전개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예: 프리메라리가 2007-08)
2014년 하반기에는 "토르네오 데 트랜시시온(Torneo de Transición)"이라는 이름으로 20개 팀이 참가하는 단기 리그가 개최된 후, 2015 시즌부터는 30개 팀이 참가하는 단일 시즌제로 변경되었다. 2016년 상반기 단기 리그(2개 조 + 우승 결정전)를 거친 후, 2016-17 시즌부터는 유럽식 단일 시즌제로 운영되고 있다. 2017-18 시즌부터는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와 별도 기구에서 운영을 맡게 되면서 리그 명칭이 수페르리가 아르헨티나(Superliga Argentina)로 변경되었고, 리그컵(코파 데 라 수페르리가)가 신설되었다.
2020년 4월 28일,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19-20 시즌 잔여 경기의 모든 취소를 발표했다. 이후 코파 데 라 수페르리가는 중단 및 폐지되었고,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2022년까지 강등을 실시하지 않았다.[65] 2021 시즌부터는 다시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의 관할 아래 리그 명칭이 리가 프로페시오날(Liga Profesional)로 변경되었다.
1983년, 리버 플레이트가 강등 위기를 겪자, 평균 승점 비율 제도가 도입되었다.[68] 이 제도는 빅 클럽의 강등 가능성을 줄이려는 목적이라는 의혹도 있었다.[69] 1998-99 시즌까지는 지난 3시즌의 평균 승점 비율 하위 2개 클럽이 자동 강등되었다. 1999-2000 시즌부터 2011-12 시즌까지는 하위 2개 클럽 자동 강등 외에, 그 뒤를 이은 하위 2개 클럽은 프리메라 B 나시오날 상위 클럽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2012-13 시즌부터는 승강 플레이오프가 폐지되고, 지난 3시즌의 평균 승점 비율 하위 3개 클럽이 자동 강등된다.
3. 1. 2024 시즌
2024 시즌은 전 시즌의 26개 팀과 2023 프리메라 나시오날에서 승격된 2개 팀을 포함한 28개 팀이 참가한다. 리그 시즌은 5월 12일에 시작하여 12월 15일에 종료된다.[14]참가팀들은 총 27라운드에 걸쳐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며, 시즌 종료 시점에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팀이 우승을 차지한다.
2024년 10월 17일,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는 해당 시즌에는 강등이 없으며 2025 프리메라 디비시온에는 30개 팀이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4]
3. 2. 승강제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승강제는 지난 3년간의 리그 성적을 합산하여 결정된다.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3년 평균 승점(평균 승률)이 가장 낮은 두 팀은 2부 리그인 프리메라 B 나시오날로 강등되고,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의 상위 두 팀은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된다.[15]이 방식은 빅 클럽들의 강등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1981년 산로렌소의 강등 이후 도입되었다.[68] 1983년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강등될 뻔했으나, 평균 승점 제도 덕분에 잔류할 수 있었다. 이 제도로 처음 강등된 팀은 라싱 클럽과 누에바 시카고였다.[69]
2010-11 시즌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팀 역사상 처음으로 강등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2012-13 시즌부터는 승강 플레이오프가 폐지되었고, 평균 승점 하위 3개 팀이 자동 강등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11-12 시즌 종료 후 평균 승점 비율 예시
순위 | 클럽 | 09-10 승점 | 10-11 승점 | 11-12 승점 | 합계 승점 | 합계 경기수 | 평균 승점 | 비고 |
---|---|---|---|---|---|---|---|---|
1 |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 61 | 82 | 64 | 207 | 114 | ||
2 | 에스투디안테스 | 71 | 69 | 50 | 190 | 114 | ||
16 | 티그레 | 32 | 50 | 63 | 145 | 114 | ||
17 | 산 마르틴(SJ) | — | — | 48 | 48 | 38 | 승강 플레이오프 출전 | |
18 | 산 로렌소 | 52 | 47 | 44 | 143 | 114 | ||
19 | 반필드 | 73 | 47 | 22 | 142 | 114 | 자동 강등 | |
20 | 올림포 | — | 48 | 29 | 77 | 76 |
2011-12 시즌 종료 후 승강 플레이오프 결과
# | 1부리그 클럽 | 스코어 | 2부리그 클럽 | 비고 |
---|---|---|---|---|
플레이오프 1 | 산 마르틴(SJ) (17위) | 0-0, 0-0 | 로사리오 센트랄 (4위) | 산 마르틴(SJ) 잔류 |
플레이오프 2 | 산 로렌소 (18위) | 2-0, 1-1 | 인스티투토 (3위) | 산 로렌소 잔류 |
4. 참가 클럽
클럽명 | 연고지 | 스타디움 | 수용인원 |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부에노스아이레스 |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 25,000 |
아틀레티코 투쿠만 | 투쿠만 | 모뉴멘탈 호세 피에로 | 32,700 |
반피엘드 | 반피엘드 | 플로렌시오 솔라 | 34,901 |
보카 주니어스 | 부에노스아이레스 | 알베르토 J. 아르만도 | 54,000 |
센트랄 코르도바 | 산티아고델에스테로 | 우니코 마드레 데 시우다데스 | 30,000 |
알프레도 테레라 | 16,000 |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 플로렌시오발레라 | 노베르토 "티토" 토마겔로 | 12,000 |
리에스트라 | 부에노스아이레스 | 기예르모 라사 | 3,000 |
에스투디안테스 (LP) | 라플라타 | 호르헤 루이스 이르시 | 30,000 |
힘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LP) | 라플라타 | 후안 카르멜로 세리요 | 24,544 |
고도이크루스 | 고도이크루스 | 펠리시아노 감바르테 | 14,000 |
우라칸 | 부에노스아이레스 | 토마스 아돌포 두코 | 48,314 |
인데펜디엔테 | 아베야네다 |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 | 52,853 |
리바다비아 | 멘도사 | 바우티스타 가르간티니 | 24,000 |
라누스 | 라누스 | 시우다드 데 라누스 - 네스토르 디아스 페레스 | 46,619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로사이오 | 마르셀루 비엘사 | 38,095 |
플라텐세 | 플로리다 | 시우다드 데 비센테 로페스 | 28,530 |
라싱 | 아벨라네다 | 프레시덴테 페론 | 55,389 |
리버 플레이트 | 부에노스아이레스 | 안토니오 베스푸시오 리베르티 | 70,074 |
로사리오 센트랄 | 로사리오 | 히간테 데 아로이토 | 41,654 |
산로렌소 | 부에노스아이레스 | 페드로 비데가인 | 39,494 |
사르미엔토 | 후닌 | 에바 페론 | 19,000 |
타예레스 | 코르도바 | 마리오 알베르토 켐페스 | 57,000 |
우니온 | 산타페 | 15 데 아브릴 | 22,852 |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 부에노스아이레스 | 호세 아말피타니 | 45,540 |
티그레 | 빅토리아 | 호세 데야히오바나 | 26,282 |
바라카스 | 부에노스아이레스 | 파비안 타피아 | 4,400 |
벨그라노 | 코르도바 | 훌리오 세사르 비야그라 | 30,000 |
인스티투토 | 코르도바 | 후안 도밍고 페론 | 26,535 |
5. 국제 대회 참가
1987년부터 CONMEBOL이 여러 클럽 선수권 대회를 만들고 폐지하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수페르코파, 코파 CONMEBOL, 코파 메르코수르 등이 그러한 대회들이며, 지금은 코파 수다메리카나로 통합되었다.[113] CONMEBOL이 각국 리그 수준에 따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권을 다르게 배정하면서 아르헨티나 축구팀은 다섯 팀이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자격을 얻게 되었다.
2022년 기준으로 아르헨티나의 5개 클럽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참가할 자격이 있다.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팀은 자동적으로 토너먼트에 출전 자격을 얻는다. 또한 리그 종료 시점에서 순위표 상위 4개 팀(2위~5위)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할 자격이 있다.
코파 수다메리카나의 경우에는 6개 팀이 출전 자격을 얻는다. 리그 종료 시점에서 순위표 6위부터 11위까지의 클럽은 코파 수다메리카나에 출전할 수 있다.
아르헨티나 클럽들은 남미의 모든 클럽축구 대회에서 독보적인 성적을 거두어왔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등 주요 대회에서 가장 많은 우승컵을 차지했다.
6. 역대 기록
아르헨티나 리그는 잉글랜드의 풋볼 리그를 제외하고 가장 오래된 축구 리그로, 1891년 영국인들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 최초의 우승 팀은 '''세인트 앤드루스'''(Saint Andrews)로 기록되어 있다.[74] 1931년부터 프로 리그가 시작되었다.
팀명 | 우승 | 준우승 | 3위[116] |
---|---|---|---|
리버 플레이트 | 33 | 25 | 11 |
보카 주니어스 | 24 | 18 | 22 |
인데펜디엔테 | 14 | 14 | 6 |
산로렌소 | 10 | 11 | 14 |
벨레스 사르스필드 | 8 | 8 | 10 |
라싱 클럽 | 7 | 7 | 10 |
에스투디안테스 | 5 | 4 | 7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5 | 3 | 3 |
로사리오 센트랄 | 4 | 4 | 2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3 | 1 | 1 |
페로 카릴 오에스테 | 2 | 3 | 1 |
우라칸 | 1 | 5 | 2 |
라누스 | 1 | 4 | 4 |
반필드 | 1 | 2 | 2 |
킬메스 | 1 | 1 | 0 |
아르세날 | 1 | 0 | 1 |
차카리타 주니어스 | 1 | 0 | 1 |
힘나시아 라 플라타 | 0 | 5 | 3 |
티그레 | 0 | 3 | 0 |
콜론 산타페 | 0 | 1 | 2 |
타예레스 | 0 | 1 | 2 |
우니온 데 산타페 | 0 | 1 | 1 |
라싱 코르도바 | 0 | 1 | 0 |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 0 | 0 | 3 |
고도이크루스 | 0 | 0 | 2 |
아틀란타 | 0 | 0 | 1 |
플라텐세 | 0 | 0 | 1 |
아틀레티코 투쿠만 | 0 | 0 | 1 |
템펄레이 | 0 | 0 | 1 |
- 1967년 ~ 1985년: N=내셔널리그, M=메트로폴리탄리그
- 1990년 ~ 2012년: A=아페르투라, C=클라우스라
- 2012년 ~ 2014년: I=이니시알, F=피나르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역대 최다 득점자는 295골을 기록한 아르세니오 에리코이다.[7]
6. 1. 우승 클럽
순위 | 클럽 | 회수 | 준우승 | 우승 시즌 | |
---|---|---|---|---|---|
1 | 리버 플레이트 | 1920, 1932, 1936 (코파 카메오나토, 코파 데 오로), 1937, 1941, 1942, 1945, 1947, 1952, 1953, 1955, 1956, 1957, 1975 메트로폴리타노, 1975 나시오날, 1977 메트로폴리타노, 1979 메트로폴리타노, 1979 나시오날, 1980 메트로폴리타노, 1981 나시오날, 1985–86, 1989–90, 1991 아페르투라, 1993 아페르투라, 1994 아페르투라, 1996 아페르투라, 1997 아페르투라, 1997 클라우수라, 1999 아페르투라, 2000 클라우수라, 2002 클라우수라, 2003 클라우수라, 2004 클라우수라, 2008 클라우수라, 2014 결승, 2021, 2023 | |||
2 | 보카 주니어스 | 1919, 1920, 1923, 1924, 1926, 1930, 1931, 1934, 1935, 1940, 1943, 1944, 1954, 1962, 1964, 1965, 1969 나시오날, 1970 나시오날, 1976 메트로폴리타노, 1976 나시오날, 1981 메트로폴리타노, 1992 아페르투라, 1998 아페르투라, 1999 클라우수라, 2000 아페르투라, 2003 아페르투라, 2005 아페르투라, 2006 클라우수라, 2008 아페르투라, 2011 아페르투라, 2015, 2016–17, 2017–18, 2019–20, 2022 | |||
3 | 라싱 클럽 | 1913, 1914, 1915, 1916, 1917, 1918, 1919, 1921, 1925, 1949, 1950, 1951, 1958, 1961, 1966, 2001 아페르투라, 2014 트랜시시온, 2018–19 | |||
4 | 인데펜디엔테 | 1922, 1926, 1938, 1939, 1948, 1960, 1963, 1967 나시오날, 1970 메트로폴리타노, 1971 메트로폴리타노, 1977 나시오날, 1978 나시오날, 1983 메트로폴리타노, 1988–1989, 1994 클라우수라, 2002 아페르투라 | |||
5 | 산 로렌소 | 1923, 1924, 1927, 1933, 1936 (코파 데 오노르), 1946, 1959, 1968 메트로폴리타노, 1972 메트로폴리타노, 1972 나시오날, 1974 나시오날, 1995 클라우수라, 2001 클라우수라, 2007 클라우수라, 2013 이니시알 |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968 나시오날, 1993 클라우수라, 1995 아페르투라, 1996 클라우수라, 1998 클라우수라, 2005 클라우수라, 2009 클라우수라, 2011 클라우수라, 2012 이니시알, 2012–13 슈퍼파이널[42], 2024 | ||||
알루미니 | 1900, 1901, 1902, 1903, 1905, 1906, 1907, 1909, 1910, 1911 | ||||
rowspan="2"| | 에스투디안테스 (LP) | 1913, 1967 메트로폴리타노, 1982 메트로폴리타노, 1983 나시오날, 2006 아페르투라, 2010 아페르투라 | |||
뉴웰스 올드 보이스 | 1974 메트로폴리타노, 1987–88, 1990–91, 1992 클라우수라, 2004 아페르투라, 2013 피날 | ||||
rowspan="2"| | 우라칸 | 1921, 1922, 1925, 1928, 1973 메트로폴리타노 | |||
로마스 애슬레틱 | 5 | 2 | 1893, 1894, 1895, 1897, 1898 | ||
로사리오 센트랄 | 1971 나시오날, 1973 나시오날, 1980 나시오날, 1986–87 | ||||
rowspan="2"| | 벨그라노 애슬레틱 | 3 | 3 | 1899, 1904, 1908 |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3 | 2 | 1984 메트로폴리타노, 1985 나시오날, 2010 클라우수라 | ||
rowspan="5"| | 라누스 | 2007 아페르투라, 2016 | |||
페로 카릴 오에스테 | 1982 나시오날, 1984 나시오날 | ||||
포르테뇨 | 1912, 1914 | ||||
킬메스 | 1912, 1978 메트로폴리타노 | ||||
에스투디안틸 포르테뇨 | 1931, 1934 | ||||
rowspan="9"| | 힘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LP) | 1929 | |||
반필드 | 2009 아페르투라 | ||||
로마스 아카데미 | 1896 | ||||
아르세날 | 1 | – | 2012 클라우수라 | ||
차카리타 주니어스 | 1969 메트로폴리타노 | ||||
독 수드 | 1933 | ||||
올드 칼레도니안스 | 1 | – | 1891 | ||
에스포르티보 바라카스 | 1932 | ||||
세인트 앤드류스 | 1891 |
|}
6. 2. 득점왕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역대 최다 득점자는 295골을 기록한 아르세니오 에리코이다.[7]다음은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역대 득점왕 목록이다.
대회 | 선수 | 소속 | 득점 |
---|---|---|---|
1931 | Alberto Zozaya|알베르토 소사야es | 에스투디안테스 | 33 |
1932 | Bernabé Ferreyra|베르나베 페레이라es | 리버 플레이트 | 43 |
1933 | Francisco Varallo|프란시스코 바라조es | 보카 주니어스 | 34 |
1934 | Evaristo Barrera|에바리스토 바레라es | 라싱 클럽 | 34 |
1935 | Agustín Cosso|아구스틴 코소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33 |
1936 | Evaristo Barrera|에바리스토 바레라es | 라싱 클럽 | 32 |
1937 | Arsenio Erico|아르세니오 에리코es | 인데펜디엔테 | 47 |
1938 | Arsenio Erico|아르세니오 에리코es | 인데펜디엔테 | 43 |
1939 | Arsenio Erico|아르세니오 에리코es | 인데펜디엔테 | 40 |
1940 | Delfín Benítez Cáceres|델핀 베니테스 카세레스es | 라싱 클럽 | 33 |
Isidro Lángara|이시드로 랑가라es | 산로렌소 | 33 | |
1941 | José Canteli|호세 칸텔리es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30 |
1942 | Rinaldo Martino|리날도 마르티노es | 산로렌소 | 25 |
1943 | Luis Arrieta|루이스 아리에타es | 라누스 | 23 |
Raúl Frutos|라울 프루토스es | 플라텐세 | 23 | |
Ángel Labruna|앙헬 라브루나es | 리버 플레이트 | 23 | |
1944 | Atilio Mellone|아틸리오 메조네es | 우라칸 | 26 |
1945 | Ángel Labruna|앙헬 라브루나es | 리버 플레이트 | 25 |
1946 | Mario Boyé|마리오 보제es | 보카 주니어스 | 24 |
1947 | Alfredo Di Stéfano|알프레도 디 스테파노es | 리버 플레이트 | 27 |
1948 | Benjamín Santos|베냐민 산토스es | 로사리오 센트랄 | 21 |
1949 | Llamil Simes|자밀 시메스es | 라싱 클럽 | 26 |
Juan José Pizzuti|후안 호세 피수티es | 반필드 | 26 | |
1950 | Mario Papa|마리오 파파es | 산로렌소 | 24 |
1951 | Santiago Vernazza|산티아고 베르나사es | 리버 플레이트 | 22 |
1952 | Eduardo Ricagni|에두아르도 리카그니es | 우라칸 | 28 |
1953 | Juan José Pizzuti|후안 호세 피수티es | 라싱 클럽 | 22 |
Juan Armando Benavídez|후안 아르만도 베나비데스es | 산로렌소 | 22 | |
1954 | Ángel Berni|앙헬 베르니es | 산로렌소 | 19 |
José Borello|호세 보레조es | 보카 주니어스 | 19 | |
Norberto Conde|노르베르토 콘데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9 | |
1955 | Oscar Massei|오스카르 마세이es | 로사리오 센트랄 | 21 |
1956 | Juan Alberto Castro|후안 알베르토 카스트로es | 로사리오 센트랄 | 17 |
Ernesto Grillo|에르네스토 그리조es | 인데펜디엔테 | 17 | |
1957 | Roberto Zárate|로베르토 사라테es | 리버 플레이트 | 22 |
1958 | José Sanfilippo|호세 산필리포es | 산로렌소 | 28 |
1959 | José Sanfilippo|호세 산필리포es | 산로렌소 | 31 |
1960 | José Sanfilippo|호세 산필리포es | 산로렌소 | 34 |
1961 | José Sanfilippo|호세 산필리포es | 산로렌소 | 26 |
1962 | Luis Artime|루이스 아르티메es | 리버 플레이트 | 25 |
1963 | Luis Artime|루이스 아르티메es | 리버 플레이트 | 25 |
1964 | Héctor Veira|엑토르 베이라es | 산로렌소 | 17 |
1965 | Juan Carlos Carone|후안 카를로스 카로네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9 |
1966 | Luis Artime|루이스 아르티메es | 인데펜디엔테 | 23 |
1967 메트로폴리타노 | Bernardo Acosta|베르나르도 아코스타es | 라누스 | 18 |
1967 나시오날 | Luis Artime|루이스 아르티메es | 인데펜디엔테 | 11 |
1968 메트로폴리타노 | {{llang|es|Alfredo Obberti|알프레도 오베르티]][117] || 로스 안데스 || 13 | ||
1968 나시오날 | 오마르 웨베/Omar Wehbe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3 |
1969 메트로폴리타노 | 왈테르 마차두 다 시우바/Waldir Machado da Silvapt | 라싱 클럽 | 14 |
1969 나시오날 | 로돌포 피셔/Rodolfo Fischeres | 산로렌소 | 14 |
카를로스 부자/Carlos Bullaes | 플라텐세 | 14 | |
1970 메트로폴리타노 | 오스카르 마스/Oscar Máses | 리버 플레이트 | 16 |
1970 나시오날 | 카를로스 비안치/Carlos Bianchi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8 |
1971 메트로폴리타노 | 카를로스 비안치/Carlos Bianchi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36 |
1971 나시오날 | 알프레도 오베르티/Alfredo Obberties | 뉴얼스 올드보이스 | 10 |
호세 루니스/José Luñizes | 후벤투드 안토니아나 | 10 | |
1972 메트로폴리타노 | 미겔 앙헬 브린디시/Miguel Ángel Brindisies | 우라칸 | 21 |
1972 나시오날 | 카를로스 모레테/Carlos Moretees | 리버 플레이트 | 14 |
1973 메트로폴리타노 | 오스카르 마스/Oscar Máses | 리버 플레이트 | 17 |
우고 쿠리오니/Hugo Curionies | 보카 주니어스 | 17 | |
이그나시오 페냐/Ignacio Peñaes | 에스투디안테스 (LP) | 17 | |
1973 나시오날 | 후안 고메스 보글리노/Juan Gómez Voglinoes | 아틀란타 | 18 |
1974 메트로폴리타노 | 카를로스 모레테/Carlos Moretees | 리버 플레이트 | 18 |
1974 나시오날 | 마리오 알베르토 켐페스/Mario Alberto Kempeses | 로사리오 센트랄 | 25 |
1975 메트로폴리타노 | 엑토르 스코타/Héctor Scottaes | 산로렌소 | 32 |
1975 나시오날 | 엑토르 스코타/Héctor Scottaes | 산로렌소 | 28 |
1976 메트로폴리타노 | 마리오 알베르토 켐페스/Mario Alberto Kempeses | 로사리오 센트랄 | 21 |
1976 나시오날 | 노르베르토 에레수마/Norberto Eresumaes | 산로렌소 마르델플라타 | 12 |
루이스 루데냐/Luis Ludueñaes | 타예레스 | 12 | |
1977 메트로폴리타노 | 카를로스 알바레스/Carlos Álvarezes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27 |
1977 나시오날 | 알프레도 레타누/Alfredo Letanúes | 에스투디안테스 (LP) | 13 |
1978 메트로폴리타노 | 디에고 마라도나/Diego Maradonaes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22 |
루이스 안드레우치/Luis Andreuchies | 킬메스 | 22 | |
1978 나시오날 | 호세 레이날디/José Reinaldies | 타예레스 | 18 |
1979 메트로폴리타노 | 디에고 마라도나/Diego Maradonaes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14 |
세르히오 포르투나토/Sergio Fortunatoes | 에스투디안테스 (LP) | 14 | |
1979 나시오날 | 디에고 마라도나/Diego Maradonaes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12 |
1980 메트로폴리타노 | 디에고 마라도나/Diego Maradonaes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25 |
1980 나시오날 | 디에고 마라도나/Diego Maradonaes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17 |
1981 메트로폴리타노 | 라울 데라크루스 차파로/Raúl de la Cruz Chaparroes | 인스티투토 코르도바 | 20 |
1981 나시오날 | 카를로스 비안치/Carlos Bianchi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5 |
1982 나시오날 | 미겔 앙헬 후아레스/Miguel Ángel Juárezes | 페로 카릴 오에스테 | 22 |
1982 메트로폴리타노 | 카를로스 모레테/Carlos Moretees | 인데펜디엔테 | 20 |
1983 나시오날 | 아르만도 우시조스/Armando Husilloses | 로마 네그라 | 11 |
1983 메트로폴리타노 | 빅토르 라모스/Víctor Ramoses | 뉴얼스 올드보이스 | 30 |
1984 나시오날 | 페드로 파스쿠지/Pedro Pascullies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9 |
1984 메트로폴리타노 | 엔소 프란세스콜리/Enzo Francescolies | 리버 플레이트 | 24 |
1985 나시오날 | 호르헤 코마스/Jorge Comas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2 |
1985/86 | 엔소 프란세스콜리/Enzo Francescolies | 리버 플레이트 | 25 |
1986/87 | 오마르 아르날도 팔마/Omar Arnaldo Palmaes | 로사리오 센트랄 | 20 |
1987/88 |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José Luis Rodríguezes |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 18 |
1988/89 | 오스카르 데르티시아/Oscar Dertyciaes |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20 |
네스토르 고로시토/Néstor Gorositoes | 산로렌소 | 20 | |
1989/90 | 아리엘 코소니/Ariel Cozzonies | 뉴얼스 올드보이스 | 23 |
1990/91 | 에스테반 곤살레스/Esteban González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8 |
1991 아페르투라 | 라몬 디아스/Ramón Díazes | 리버 플레이트 | 14 |
1992 클라우수라 | 디에고 라토레/Diego Latorrees | 보카 주니어스 | 9 |
다리오 스코토/Darío Scottoes | 플라텐세 | 9 | |
1992 아페르투라 | 알베르토 아코스타/Alberto Acostaes | 산로렌소 | 12 |
1993 클라우수라 | 루벤 다 실바/Rubén da Silvaes | 리버 플레이트 | 13 |
1993 아페르투라 | 세르히오 마르티네스/Sergio Martínezes | 보카 주니어스 | 12 |
1994 클라우수라 | 에르난 크레스포/Hernán Crespoes | 리버 플레이트 | 11 |
마르셀로 에스피나/Marcelo Espinaes | 플라텐세 | 11 | |
1994 아페르투라 | 엔소 프란세스콜리/Enzo Francescolies | 리버 플레이트 | 12 |
1995 클라우수라 | 호세 오스카르 플로레스/José Oscar Flores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4 |
1995 아페르투라 | 호세 루이스 칼데론/José Luis Calderónes | 에스투디안테스 (LP) | 13 |
1996 클라우수라 | 아리엘 로페스/Ariel Lópezes | 라누스 | 12 |
1996 아페르투라 | 구스타보 레히/Gustavo Reggies | 페로 카릴 오에스테 | 11 |
1997 클라우수라 | 세르히오 마르티네스/Sergio Martínezes | 보카 주니어스 | 15 |
1997 아페르투라 | 루벤 다 실바/Rubén da Silvaes | 로사리오 센트랄 | 15 |
1998 클라우수라 | 로베르토 소사/Roberto Sosaes | 힘나시아 라 플라타 | 16 |
1998 아페르투라 | 마르틴 팔레르모/Martín Palermoes | 보카 주니어스 | 20 |
1999 클라우수라 | 호세 루이스 칼데론/José Luis Calderónes | 인데펜디엔테 | 17 |
1999 아페르투라 | 하비에르 사비올라/Javier Saviolaes | 리버 플레이트 | 15 |
2000 클라우수라 | 에스테반 푸에르테스/Esteban Fuerteses | 콜론 산타페 | 17 |
2000 아페르투라 | 후안 파블로 앙헬/Juan Pablo Ángeles | 리버 플레이트 | 13 |
2001 클라우수라 | 베르나르도 로메오/Bernardo Romeoes | 산로렌소 | 15 |
2001 아페르투라 | 마르틴 카르데티/Martín Cardetties | 리버 플레이트 | 17 |
2002 클라우수라 | 페르나르도 카베나기/Fernando Cavenaghies | 리버 플레이트 | 15 |
2002 아페르투라 | 안드레스 실베라/Andrés Silveraes | 인데펜디엔테 | 16 |
2003 클라우수라 | 루시아노 피게로아/Luciano Figueroaes | 로사리오 센트랄 | 17 |
2003 아페르투라 | 에르네스토 파리아스/Ernesto Faríases | 에스투디안테스 (LP) | 12 |
2004 클라우수라 | 로날도 사라테/Rolando Zárate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3 |
2004 아페르투라 | 리산드로 로페스/Lisandro Lópezes | 라싱 클럽 | 12 |
2005 클라우수라 | 마리아노 파보네/Mariano Pavonees | 에스투디안테스 (LP) | 16 |
2005 아페르투라 | 하비에르 캄포라/Javier Cámporaes | 티로 페데랄 | 13 |
2006 클라우수라 | 곤살로 바르가스/Gonzalo Vargases | 힘나시아 라 플라타 | 12 |
2006 아페르투라 | 로드리고 팔라시오/Rodrigo Palacioes | 보카 주니어스 | 12 |
마우로 사라테/Mauro Zárate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2 | |
2007 클라우수라 | 마르틴 팔레르모/Martín Palermoes | 보카 주니어스 | 11 |
2007 아페르투라 | 헤르만 데니스/Germán Denises | 인데펜디엔테 | 18 |
2008 클라우수라 | 다리오 츠비타니치/Darío Cvitaniches | 반필드 | 13 |
2008 아페르투라 | 호세 산드/José Sandes | 라누스 | 15 |
2009 클라우수라 | 호세 산드/José Sandes | 라누스 | 13 |
2009 아페르투라 | 산티아고 실바/Santiago Silvaes | 반필드 | 14 |
2010 클라우수라 | 마우로 보세지/Mauro Bosellies | 에스투디안테스 (LP) | 13 |
2010 아페르투라 | 데니스 스트라콸루르시/Denis Stracqualursies | 티그레 | 12 |
산티아고 실바/Santiago Silva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2 | |
2011 클라우수라 | 하비에르 캄포라/Javier Cámporaes | 우라칸 | 11 |
테오필로 구티에레스/Teófilo Gutiérrezes | 라싱 클럽 | 11 | |
2011 아페르투라 | 루벤 라미레스/Rubén Ramírezes | 고도이 크루스 | 12 |
2012 클라우수라 | 카를로스 루나/Carlos Lunaes | 티그레 | 12 |
2012/13 인테르메디오 | 파쿤도 페레이라/Facundo Ferreyra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3 |
이그나시오 스코코/Ignacio Scoccoes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13 | |
2012/13 피날 | 이그나시오 스코코/Ignacio Scoccoes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11 |
에마누엘 지글리오티/Emmanuel Gigliotties | 콜론 | 11 | |
2013/14 인테르메디오 | 세사르 페레이라/César Pereyraes | 벨그라노 | 10 |
2013/14 피날 | 마우로 사라테/Mauro Zárate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3 |
2014 트란시시온 | 루카스 프라토/Lucas Prattoes | 벨레스 사르스필드 | 11 |
막시 로드리게스/Maxi Rodríguezes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11 | |
실비오 로메로/Silvio Romeroes | 라누스 | 11 | |
2015 | 마르코 루벤/Marco Rubenes | 로사리오 센트랄 | 21 |
2016 | 호세 산드/José Sandes | 라누스 | 15 |
2016/17 | 다리오 베네데토/Darío Benedettoes | 보카 주니어스 | 21 |
2017/18 | 산티아고 가르시아/Santiago Garcíaes | 고도이 크루스 | 17 |
2018/19 | 리산드로 로페스/Lisandro Lópezes | 라싱 클럽 | 17 |
2019/20 | 실비오 로메로/Silvio Romeroes | 인데펜디엔테 | 12 |
라파엘 산토스 보레/Rafael Santos Borrées | 리버 플레이트 | 12 | |
2021 | 훌리안 알바레스/Julián Álvarezes | 리버 플레이트 | 18 |
2022 | 마테오 레테기/Mateo Reteguies[72] | 티그레 | 19 |
2023 | 미카엘 산토스/Michael Santoses | 티그레 | 13 |
파블로 베헤티/Pablo Vegetties | 벨그라노 | 13 |
참조
[1]
뉴스
Hace 120 años, el fútbol tenía su primer torneo local
https://www.clarin.c[...]
Clarín
2011-04-12
[2]
웹사이트
1891 Argentine Primera División at RSSSF.com
https://www.rsssf.or[...]
[3]
웹사이트
Campeones de Primera División at AFA website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Torneo Argentino de Primera División – Títulos por Equipo", SobreFutbol.com
http://www.sobrefutb[...]
[5]
뉴스
El abuelo y tapicero que se convertirá en el jugador con más partidos en el fútbol argentino
http://www.lanacion.[...]
La Nación
2014-11-05
[6]
웹사이트
A 30 AÑOS DEL RÉCORD INALCANZABLE DE HUGO GATTI
http://www.teaydepor[...]
Deportea
[7]
웹사이트
Arsenio Erico, un paraguayo cuya dimensión futbolística pervive en el tiempo
https://www.conmebol[...]
CONMEBOL
2015-03-30
[8]
뉴스
Fox y Turner son los nuevos dueños del fútbol por TV en la Argentina
http://www.lanacion.[...]
La Nación
2017-03-14
[9]
웹사이트
Argentina Primera Division
https://web.archive.[...]
[10]
서적
Historia del Fútbol Amateur en la Argentina
Autores Editores
1992
[11]
뉴스
Salvation army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2006-06-03
[12]
웹사이트
Argentina – 1ra. División 1894
http://historiayfutb[...]
2008-11-19
[13]
웹사이트
The Strongest League in the World 2015
http://iffhs.de/the-[...]
IFFHS
[14]
웹사이트
Todo sobre la asamblea en AFA: se anularon los descensos y Tapia fue reelecto - TyC Sports
https://www.tycsport[...]
2024-10-17
[15]
웹사이트
Promedios: The Argentine relegation system explained
http://southamerican[...]
[16]
웹사이트
Copa Liga Profesional 2023: el fixture completo del segundo certamen del año
https://www.tycsport[...]
TyC Sports
[17]
웹사이트
Memoria y Balance 1935 – Argentine Football Association Library
http://biblioteca.af[...]
[18]
뉴스
Una Copa con mucha historia
https://web.archive.[...]
Diario Uno
2013-06-27
[19]
서적
Historia del Fútbol Amateur en la Argentina
Autores Editores
1992
[20]
뉴스
Salvation Army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2006-06-03
[21]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31–1940 (Professional) at RSSSF
https://www.rsssf.or[...]
[22]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41–1950 at RSSSF
https://www.rsssf.or[...]
[23]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51–1960 at RSSSF
https://www.rsssf.or[...]
[24]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61–1970 at RSSSF
https://www.rsssf.or[...]
[25]
웹사이트
Argentina 1957
https://www.rsssf.or[...]
RSSSF.com
[26]
웹사이트
La historia de los promedios en el fútbol argentino: cómo y cuándo se inventaron
http://www.goal.com/[...]
Goal.com
2017-07-13
[27]
웹사이트
Argentina 1967
https://www.rsssf.or[...]
RSSSF.com
[28]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71–1980 at RSSSF
https://www.rsssf.or[...]
[29]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81–1990 at RSSSF
https://www.rsssf.or[...]
[30]
웹사이트
La verdadera historia de la creación de los promedios
http://www.infobae.c[...]
Infobae
2007-05-31
[31]
뉴스
El fin del Apertura y el fin del Clausura
https://elpais.com/d[...]
El País
2012-05-09
[32]
뉴스
La Promoción, una definición dramática que se despide del fútbol argentino
https://www.infobae.[...]
Infobae
2012-07-01
[33]
뉴스
AFA: Se aprobaron los cambios en los torneos de fútbol
http://www.continent[...]
Radio Continental web
2012-05-09
[34]
뉴스
La AFA homologó la final de River como una copa nacional
https://web.archive.[...]
Cancha Llena
2014-05-28
[35]
웹사이트
Se sorteó el Fixture del Torneo de Transición, que arrancará en agosto y el 'Súper' en la 10ª
http://www.infobae.c[...]
[36]
뉴스
Confirmado: El próximo torneo será con 30 equipos
http://442.perfil.co[...]
Perfil.com
2014-11-11
[37]
웹사이트
Asociación del Fútbol Argentino Boletín 4978
http://www.afa.org.a[...]
AFA
2015-10-14
[38]
뉴스
Reunión clave en el fútbol argentino: Tapia recibió a los principales dirigentes de Primera con la idea de ponerle fin a la Superliga
https://www.infobae.[...]
Infobae
2020-02-26
[39]
뉴스
Renunció Mariano Elizondo
https://www.infobae.[...]
Infobae
2020-03-10
[40]
뉴스
Quién es quién en la AFA
https://www.pressrea[...]
Clarín
2020-05-19
[41]
웹사이트
Barracas Central ascendió a primera división por primera vez tras vencer a Quilmes por penales
https://www.afa.com.[...]
AFA
2021-12-20
[42]
뉴스
"Vélez venció a Newell's y es el Supercampeón", ''Clarín'', 29 Dec 2013
http://deportes.clar[...]
Clarín
2013-12-29
[43]
뉴스
Ya están las ofertas por los derechos de TV del fútbol argentino
http://www.goal.com/[...]
2017-02-23
[44]
뉴스
Sin Fútbol para Todos, la TV del fútbol argentino es una incógnita
http://www.cronista.[...]
2017-01-09
[45]
웹사이트
Paramount+ adds Concacaf soccer rights ahead of US launch - SportsPro Media
https://www.sportspr[...]
2021-02-25
[46]
뉴스
Hace 120 años, el fútbol tenía su primer torneo local
http://www.clarin.co[...]
Clarín
2011-04-12
[47]
웹사이트
1891 Argentine Primera División
http://www.rsssf.com[...]
[48]
뉴스
El abuelo y tapicero que se convertirá en el jugador con más partidos en el fútbol argentino
http://www.lanacion.[...]
La Nación
2014-11-05
[49]
웹사이트
A 30 AÑOS DEL RÉCORD INALCANZABLE DE HUGO GATTI
http://www.teaydepor[...]
[50]
간행물
Revista de la AFA
http://www.afa.org.a[...]
AFA
2013-07
[51]
문서
잉글랜드 축구 리그, 스코틀랜드 축구 리그, 아일랜드 리그, 덴마크 축구 투르니엔겐 1889-1890, 네덜란드 전국 선수권 대회 등이 이미 리그전을 개최하고 있었다.
[52]
웹사이트
HACIENDO HISTORIA : EL 31 DE MAYO DE 1931 SE JUGARON OCHO PARTIDOS El fútbol profesional y su cumpleaños número 75
https://www.clarin.c[...]
クラリン
2017-02-24
[53]
웹사이트
Argentina 1934 (amateur)
http://www.rsssf.com[...]
RSSSF
[54]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31-1940
http://www.rsssf.com[...]
[55]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41-1950
http://www.rsssf.com[...]
[56]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51-1960
http://www.rsssf.com[...]
[57]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61-1970
http://www.rsssf.com[...]
[58]
웹사이트
1988. MEMORIAS DE UN DIRIGENTE QUE HIZO HISTORIA: VALENTÍN SUÁREZ
https://www.elgrafic[...]
エル・グラフィコ
2020-01-22
[59]
문서
1967년 시즌의 경우 산 마르틴(멘도사 협회), 산 로렌소 말 델 플라타(말 델 플라타 협회), 센트럴 코르도바(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협회), 차코 포르 에벨(협회 불명)
[60]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71-1980
http://www.rsssf.com[...]
[61]
문서
북반구 유럽과 남반구 아르헨티나에서는 계절과 역월의 관계가 다르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유럽에서는 7월이 여름이지만 아르헨티나에서는 겨울입니다.
[62]
뉴스
명문 리베르의 구제는 없을까? 아르헨티나 리그 개혁안이 좌절
http://www.theworldm[...]
the World
2011-08-13
[63]
웹사이트
Reglamento del Campeonato de Primera División 2012/2013
http://www.afa.org.a[...]
AFA
[64]
뉴스
아르헨티나 리그, 21년 만에 시스템 변경 차기 시즌부터 우승 결정전 개최
http://soccer.skyper[...]
Sky PerfecTV
2012-05-10
[65]
웹사이트
Campeonatos oficiales de la Asociación
https://www.afa.com.[...]
AFA
[66]
문서
통산 성적 6위의 CA 타예레스는 2부 강등으로 인해 출전권을 잃었다.
[67]
문서
통산 성적 6위의 CA 리베르 플라테는 2부 강등으로 인해 출전권을 잃었다.
[68]
웹사이트
Promedios: The Argentine relegation system explained
http://southamerican[...]
[69]
웹사이트
Final Tables Argentina 1981-1990
http://www.rsssf.com[...]
[70]
문서
누에바 키카고 관중의 폭동으로 후반 47분에 누에바 키카고 1-2 티그레로 경기가 중단되었다. 누에바 키카고 0-2 티그레로 처리했다.
[71]
뉴스
리버 플레이트의 관중 폭동으로 경기 중단
[72]
문서
레테기의 국가대표팀 선택
[73]
웹인용
Binance, naming sponsor de la LPF
https://www.ligaprof[...]
LPF
2023-08-28
[74]
웹사이트
아르헨티나 1891년 축구 시즌
http://www.rsssf.com[...]
[75]
문서
리버 플레이트 우승
[76]
문서
리버 플레이트 코파 데 오로 우승
[77]
문서
코파 캄페오나토 우승
[78]
문서
부에노스아이레스 코파 데 오노르 우승
[79]
문서
코파 캄페오나토 3위
[80]
문서
리버 플레이트 준우승
[81]
문서
라싱 클럽 우승
[82]
문서
에스투디안테스 우승
[83]
문서
산로렌소 우승
[84]
문서
리버 플레이트 우승
[85]
문서
차카리타 주니어스 우승
[86]
문서
인데펜디엔테 우승
[87]
문서
보카 주니어스 우승
[88]
문서
로사리오 센트랄 우승
[89]
문서
산로렌소 우승
[90]
문서
리그 진행 방식
[91]
문서
리그 진행 방식
[92]
문서
리그 진행 방식
[93]
문서
보카 주니어스 우승
[94]
문서
타예레스 우승
[95]
문서
인데펜디엔테 우승
[96]
문서
리버 플레이트 우승
[97]
문서
우니온 데 산타페 우승
[98]
문서
로사리오 센트랄 우승
[99]
문서
리버 플레이트 우승
[100]
문서
페로 카릴 오에스테 우승
[101]
문서
에스투디안테스 우승
[102]
문서
페로 카릴 오에스테 우승
[103]
문서
아르헨티나 리그 시스템 변화
[104]
문서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우승
[105]
문서
1980년대 아르헨티나 리그 특징
[106]
문서
1990/91 시즌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107]
문서
1990/91 시즌 챔피언 결정전 결과
[108]
문서
토르네오 아페르투라 우승
[109]
문서
토르네오 클라우수라 우승
[110]
문서
1991/92 시즌 경기 승점 제도 변경
[111]
문서
1991/92 시즌 결승전 결과
[112]
문서
1991/92 시즌 아페르투라 3자간 챔피언 결정전
[113]
문서
코파 수에시아
[114]
문서
코파 아르헨티나
[115]
문서
코파 센테나리오
[116]
문서
토르네오 나시오날 또는 메트로폴리타노의 3위 또는 4강 결정 방식
[117]
웹사이트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관련 웹사이트 목록
http://www.rsssf.com[...]
2012-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